[인물] 무능했던 현직, 탁월한 업적 '와히드'

글 | 정 호 재

작성일 | 2023년 6월

● 아시아 정치에서 '중도', 군부와 민주 세력 사이의 가교
● 특출날 것 없는 종교지도자, 민주화 과도기를 현명하게 선도
● '탄핵'으로 여전히 부정적 이미지, 하지만 인니의 방향을 바꾼 인물


0.

요즘 '중도中道'란 무엇인가, 에 대해 고민을 하는 중인데, 엊그제 진보지식인 박석삼 선생께 여쭤보니, "서구 관점에서 정치색은 계급 갈등이 중심이다"고 답하시더라. 반면 아시아 정치에서의, '중도'는 나라마다 역사적 배경에 따라 그 기준이 달라진다는 대목에 공감을 표출하셨다.하지만 곰곰히 더 따지고 보니, 귀족과 민중의 대립 사이에서 '중도'가 결정이 되었다지만, 아시아에서도 이러한 행태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그 기득권이 귀족이외에도 "엘리트" "종교인" 혹은 "군벌" 인 정도만 다른 식이다.

"중도"를 설명할 때 가장 핵심적인 건 체제변화기에 얼마나 뚜렷하게 "통합"의 실적을 거두었는지 여부 같다. 중도는 그냥 대립 세력의 가운데 선다고 중도가 아니라, 실제로 중도통합을 이뤄 "실적"을 거두었을 때만 중도라는 얘기다 (즉, 노태우 김영삼 노무현 등은 중도성이 있지만, 안철수나 이낙연은 절대 미완이라는 얘기다). 이런 관점에서 인니 "와히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와히드(1999~2001)

인니 정치판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은 '수카르노(1945~1967)' '수하르토(1968~1998)' '메가와티(2001~2004)' 정도인데, 상대적으로 "압둘라흐만 와히드" 대통령을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듯 싶다. 왼쪽눈을 실명해 외모가 그리 총명해 보이지 않는데다가, 심지어 2001년 정치판에서 탄핵된 대통령이기 때문이다. 1999~2001년 시기는 아시아 금융위기 후폭풍과, 인니는 군부가 실각하면서 인종, 종교, 지역 갈등이 폭발한 격동의 시기였는데, 와히드 대통령이 혼란의 중심에서 방향키를 쥔 것이다. 당시 그는 좌충우돌하다가 불과 2년만에 쫓겨난 정치인의 이미지로 한국인에게 각인되었다. 나무위키를 찾아보면, 딱 그 정도의 설명이 나온다. 필자도 그가 '인물'이라는 생각 자체를 해본 적이 없다.

그런데, 이번에 인니 정치 귀동냥을 하면서, 애칭 "구스두르(Gus Dur)" 와히드의 중요성에 대해서 처음 알게 됐다. 무슬림 지도자 출신으로, 전환기 인니정치에 결정적 가교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지역과 인종 갈등을 딛고 통합을 이루고,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내고, 시민사회의 역량을 키우는 등, 아시아 중도정치의 성공 모델을 보여줬다는 얘기다.

2. 야심만만, 메가와티

1998년 수하르토 독재가 붕괴하고 '간선제'로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와히드가 메가와티를 누르고 집권하게 된다. 당시 무슬림 조직 기반의 와히드 정당은 12%, 메가와티는 반-수하르토 시위를 주도하며 제1당, 33%의 의석수를 획득한다. 30년 철권 통치가 막 끝난 시기였다. 당시 인니는 의회에서 대통령을 뽑는 "간선제" 시기였는데, 군부 극우파나 무슬림 극우나 상당수 "수카르노의 딸" 메가와티의 집권을 우려하고 있었다. 당연하게도 나라가 급변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탓이다. 메가와티는 "직선제라면 자기가 대통령일 것"이라며 분루를 삼켰다.

결국 의회의 결정은, 어리숙한 "와히드" 였는데, 뜻밖에 와히드는 시대변화를 읽고 재빠르고 거국적으로, 주요 의사 결정을 해치운 것이다. 수하르토 30년 집권은 한국의 "박정희-전두환" 집권을 합친 느낌인데, 그 결과는 무지막지했다. 초기엔 그럭저럭 성과를 냈지만, 후반기 15년은 그야말로 극심한 부패와 정실인사로 망가진 것이다. 그러다 갑자기 민주화가 찾아오니, 군부에 억눌린 소수민족이 독립을 추진하고, 민중은 화교 상가에 불을 지르고, 천주교와 기독교, 중국도교 세력도 제목소리를 내며 순식간에 나라가 혼란에 빠진다. 아체, 말루쿠, 동티모르 갈등이 모조리 터진거다.

3. 통합과 화합

1999년, 와히드는 "중국인의 설날"을 공식 인정하며, 화교 달래기에 적극 나선다. 당시 화교의 춘절은, 집 안에서만 축하할 수 있었다. 무슬림 사회였기 때문이다. 1998년 자카르타에서만 수백명의 화인이 죽임을 당했기에, 인니정부는 통합의 제스처가 꼭 필요한 순간이었다. 무슬림 지도자 와히드 였기에, 가능한 타협안이었을 것이다. 동티모르 분리 독립 운동도 그렇다. 군부만 탄압을 주도한 것은 아니었다. 메가와티 역시도 "하나의 인니" 정신에 몰두했기에, 동티모르의 사정을 봐주지 못하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와히드는 많이 달랐다. 고집스럽게 "무슬림"과 "자바" 중심에 복종을 강요하지 않고, 각 종교와 문화별 차이를 인정하고, 지역별 자치를 늘린 것이다. 덕분에 반다아체와 말루쿠 제도가 안정이 됐다. 동티모르는 군부의 끈질긴 반대에도, 독립 투표가 허용이 되었다. 무슬림 지도자 출신 와히드 공이 크다. 메가와티 시절이라면 분쟁은 더 극심했을 것이다. (그러고보니, 생각만큼 '위대한 정치인'의 딸들이, 성적이 시원치 않다. 아웅산 수찌도 그렇고).이런 사례가 한 둘이 아니다. 본인이 간선제로 대통령이 됐지만, 시민사회와 정치발전을 위해 "직선제 개헌"을 주도하였으며, 적극적인 무슬림-인권 외교에 나서, 인니의 제 3세계 맹주로서의 위상을 세우기도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미움을 사, 부패와 무능죄로 국회에서 탄핵을 당하지만, 사실상 체제 이행기, 와히드만큼 극우와 극좌의 사이에서, 중심을 잡아간 정치인도 흔치 않았다.

4. 놀기 좋아한 학생

다원주의 "빤짜실라" 정신과 무슬림 "세속주의"를 적절히 결합한 와히드의 중도주의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사실 그 단서가 그리 뾰족하지는 않다. 그의 아버지가 동부자바에서 저명한 성직자였던 것은 맞지만, 와히드 본인은 그리 뛰어난 성직자도, 학자도, 지도자도 아니었던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한 마디로 놀기 좋아한 게으른 학생이었다는 것이다.

다만 특이한 점은 20대 시절, 해외 각지에서 유학하며 견문을 크게 넓혔다는 것이다. 그는 무슬림을 더 깊게 배우기 위해, 이집트로 유학을 선택했고, 다시 바그다드에서 거주했으며, 내친김에 네덜란드까지 건너가, 실제론 공부는 안하고, 최신 영화와 잡지, 친구들을 만나며 시간을 보냈다는 것이다. 일종의 오렌지족 출신이란 얘기.여튼 이후엔 부모님 잘 만난 덕에, 인니 최대의 무슬림 조직의 수장과, 종교정당 당수까지 했는데, 엉겹결에 중도통합의 지도자로 변신해, 불과 2년만에, 여러 개혁과제와 내부 분쟁의 해결 단초를 제시했던 것이다.

이후 메가와티도 정권을 잡았고, 군부 출신 유도요노도 정권을 잡긴 했는데, 사실 모두 뚜렷한 성과가 없다. 정치가 절대 쉽지 않다. 메가와티도 본인 당선욕을 버리고, 조코위를 밀어주면서 명예를 회복했다.역시, 정치의 백미는 "처음엔 좌측, 우측 깜박이 켜고, 결국엔 중도통합 노선"을 걷는 게 가장 멋지고, 이상적이다.

PS.

1. "와히드" 대통령의 공적을 내게 귀뜸해 주신 분은, 인니 한국문화원의 김용운 원장님. 인니에서 행사를 치를 때 바하사 인니말로, 직접 축사하실만큼, 말레이-인니 전문가이심.

2. 그래서 실제로 영문 자료 찾아보니, 영문 보고서는 "와히드 칭찬"으로 한 가득, 그런데 한국어 자료는 쉽게 칭찬이 보이지 않아서.

3. 중도통합 노선은, 결국엔 허황된 말이 아니라 실천으로 보려주는 것이 유일. 그가 지금도 존경 받는 이유는, 자신의 지지기반인 "무슬림"만을 위해 정치하지 않았기 때문. 무슬림을 설득해가며, 기득권을 포기했음. 우리는?

4. 인니 군부는 미얀마를 포함한 아세안 군부의 롤 모델이기도. 인니는 비교적 성공적으로 이행한 국가. 미얀마에도 와히드 같은 인물도 필요했음. 군부에서 아웅산 수찌로, 바로 가는 건 역시 어려움.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여러분의 구독이, 다양한 고품질의 기사로~

구독하시면 갯수 제한 없이 읽으실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