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동양의 아테네 or 스파르타? 홍콩과 싱가폴
싱가포르는 뚜렷한 개성 강한 개인들이 돋보이기보다는 정부의 존재감이 너무 커보이는 나라로 볼 수 있다. 정부는 언제나 과학적이고, 전략적이며, 무척이나 미래지향적인 어젠다를 선점하고 국민들을 이끌고 있다. 쉽게 약점이나 단점을 찾아보기 힘든 그런 철벽수비를 자랑하는 수문장 같은 느낌이다.
by
2022년 10월 16일
싱가포르는 뚜렷한 개성 강한 개인들이 돋보이기보다는 정부의 존재감이 너무 커보이는 나라로 볼 수 있다. 정부는 언제나 과학적이고, 전략적이며, 무척이나 미래지향적인 어젠다를 선점하고 국민들을 이끌고 있다. 쉽게 약점이나 단점을 찾아보기 힘든 그런 철벽수비를 자랑하는 수문장 같은 느낌이다.
싱가포르는 뚜렷한 개성 강한 개인들이 돋보이기보다는 정부의 존재감이 너무 커보이는 나라로 볼 수 있다. 정부는 언제나 과학적이고, 전략적이며, 무척이나 미래지향적인 어젠다를 선점하고 국민들을 이끌고 있다. 쉽게 약점이나 단점을 찾아보기 힘든 그런 철벽수비를 자랑하는 수문장 같은 느낌이다.
[고질병 ‘이중가격’에 도전하는 베트남의 ‘야심’] 정호재 | 2022년 7월 26일 지난 7월, 필자는 약 2년 반만에 베트남의 경제수도 호찌민시를 다시 찾았다. 지난 5월초 태국이 동남아서 가장 먼저 외국인 입국시 격리를 없애는 등 방역 기준을 대폭 완화하자 베트남도 1-2차 백신접종 및 음성확인서만으로 무격리 체류를 허용한 덕분이다. 방역정책은 물론 산업과 스포츠에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