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필리핀 고질병 ‘카르텔 정치’와 드라마 ‘카지노’

1965~1986년 사이 필리핀을 지배했던 마르코스 대통령의 아들 봉봉 마르코스는 2022년 필리핀 정치의 중심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카지노>는 필리핀을 배경으로 도박의 세계를 정면으로 다룬다

글 | 정 호 재

작성일 | 2023년 1월 22일


최민식-손석구 주연의 디즈니+ 드라마 ‘카지노’가 화제다. 한국에서 풍문으로만 떠돌았던 동남아 원정 도박의 세계를 한 남자의 굴곡진 인생사를 통해 본격적으로 그려내기 때문이다. 해외를 자주 드나든 기업인이라면 '정킷방'이라고 불리는 프라이빗하고 고급스러운 카지노 관련 얘기와 완전히 담쌓고 살 수 없다. 다만 게임장에 발을 들이게 되면 씀씀이 통제가 어렵고, 동시에 환치기와 탈세 등 불법행위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피하는 게 상책이다.

아시아엔 마카오와 필리핀이 도박을 즐기기 쉬운 대표적 나라다. 특히 필리핀엔 범법행위를 부추기는 교민도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범죄를 수수방관하는 부패한 공무원 탓에 관련 사건 사고도 다수 있었다. 그런데 왜 하필 필리핀에 이같은 부정적 이미지가 덧씌워져 있는 것일까.

지난해 7월 봉봉 마르코스 주니어(56)가 대통령에 취임하며 각종 설화와 사건사고로 점철된 두테르테 대통령과 임무를 교대했다. 신임 봉봉 마르코스는 한국의 중년층에게 널리 알려진 고(故) 페르난디드 마르코스 대통령(재임기간 1965-1986)의 장남인 탓에 '독재자 아들'의 귀환으로 화제를 모았다. 전임 두테르테는 ‘마약과의 전쟁’을 전면에 앞세워 나라의 기강을 잡으려고 시도했지만 그다지 성공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성과를 남겼다.

두테르테, 마르코스 연합

그런데 두테르테가 그냥 조용히 사라졌는가 하면 그것은 아니다. 장녀인 사라 두테르테(45)를 당당히 부통령으로 남긴 것이다. 따지고 보면 봉봉 마르코스를 지난 대선에 부통령 후보로 발탁한 것도 두테르테이니 일종의 두 가문이 대통령직을 두고 사실상 정치적 거래를 한 거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필리핀에서 지지난 대선을 북쪽(루손 섬) 남쪽(다바오 시)의 마르코스-두테르테 동맹이라 부르고, 전현직 부자와 부녀 대통령이 함께 낀 이 동맹을 '왕조 카르텔'로 묘사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두테르테의 정치적 고향인 다바오 시에는 또 다른 아들인 세바스티안이 차기 시장을, 막내 아들이 지역 의원으로 활약중이다. 봉봉 마르코스의 아들 산드로 역시도 하원 의원을, 가까운 친인척 가운데도 정계에서 활약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필리핀에는 과거 대통령이나 상하원 의원을 거친 빌라르(Villar), 아로요(Arroyo), 에스트라다(Estrada), 카예타노(Cayetano)와 같은 지역 맹주들 역시 이 두 왕조와 비견될 정도로, 이들의 친족들이 정치와 재계의 전면에 나서 사실상 필리핀을 분할 지배하는 모양새다.

필리핀의 사법부와 경찰, 그리고 정치권이 부패했다는 비난을 받는 데는 이러한 ‘정치적 왕조’들의 우리나의 고려시대에 호족(豪族) 세력에 비견되는 봉건적 질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필리판 각 지방에 거대한 땅을 상속세 없이 대대로 물려 받기 때문에 이들 세력은 자연스럽게 정치적 지위까지도 함께 물려 받는다. 돈과 권력을 대대로 물려 받을 수 있다면 경찰이나 사법부가 두려울 이유가 없다. 자연스레 정치권력과 경제권력까지 양손에 쥐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국가 운영을 주도하는 식이다.

지방 왕조의 등장  

1970년대 까지 아시아의 선진국이던 필리핀이 진작에 중진국 함정에 빠져, 이제는 관광 산업과 해외 인력 수출 이외에 뚜렷한 국가 비전을 찾지 배경이 된다. 앞서 언급한 도박산업이 횡행하고 뇌물만 밝히는 부패공직자가 많은 이유도, 전국에 산재한 왕조카르텔의 존재와 무관치 않다. 역사학자들은 16~20세기 사이에, 스페인, 미국, 일본의 식민지를 거친 필리핀이 정권에 충성만 하는 소수의 엘리트를 낳았고, 이들 권력은 섬나라 특성상 자신의 고향에 똬리를 틀고 단 한번도 교체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이같은 소수의 특권층은 갈수록 부자가 되었지만 일반 서민들은 저임금과 고물가, 나쁜 교육 환경으로 인해 빈곤의 늪에 허덕이는 것이다.

1986년 민주화 혁명으로 하와리로 쫓겨난 마르코스 집안이 37년만에 정치의 중심으로 소환된 배경엔 “좋았던 1970년대”에 대한 향수 탓이 절대적이지만, 외부 환경은 크게 바뀌었다.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마주한 숙제는 크게 두 가지다. 만으로 3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로 인해 쑥대밭이 된 필리핀 경제를 살려야 하는 것. 그리고 이보다 더 민감한 문제는 이미 중국의 앞마당이 된 남중국해를 비롯한 필리핀 주변 해역에서 과거의 동맹인 미국의 요구를 적절하게 조율하며 필리핀의 주권을 지켜내야 하는 대목이다. 그리고 이 두 문제는 절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르코스는 취임 전부터 뚜렷한 ‘친미파’로 분류된 인물이다. 이미 오래전 미국의 관용이 없었다면 하와이 망명 시절부터 국부 유출로 인한 천문학적인 소송에 시달렸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인부터 필리핀 독재자의 자제답게 영국 옥스포드와 미국 와튼스쿨에서 교육받은 인물이기도 하다. 미국의 이해를 대변하는 필리핀 정치 세력의 대표주자인 셈이다. 실제로 마르코스는 초강대국이 된 중국에 대한 비판을 꺼렸던 전임자 두테르테와 달리 “중국이 이 지역에서 필리핀의 해상권을 짓밟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거 기간 내내 주장했다.

친미와 친중의 사이

나아가 아버지 마르코스는 아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친미파 정치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세기 내내 미국은 필리핀을 가장 각별하게 챙기며 아시아 현대화를 주도했고, 1960-70년대 베트남 전 당시는 반공산주의 진영의 중심으로 삼았다. 피플파워로 마르코스가 쫓겨났을 때도 받아준 곳이 미국 하와이니, 친중 및 반서방 행보를 지속한 두테르테에 놀란 미국이 마르코스의 당선을 가장 반겼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런데 날로 추락하는 필리핀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중국의 투자와 관광객 유치에 신경을 써야 하는 것도 냉엄한 현실이다. 동아시아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중국과 가장 많은 해상 경계를 공유하는 게 필리핀이고, 자연스럽게 수많은 중국인들이 필리핀으로 여행과 투자를 위해 방문한다.

더 이상 서방자본이 찾지 않는 필리핀에 중국이 빠진다면 경체추락은 불보듯 뻔한 상황. 이를 잘 알고 있는 마르코스는 취임 직후 먼저 미국을 방문하고, 올해 벽두엔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악수했다. 필리핀이 처한 정치경제적인 문제를 풀어 내려는 시도다. 과연 필리핀의 새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초강대국의 요구를 현실적으로 절충시켜 낼 수 있을 것인가. 필리핀 정치카르텔도 일종의 복잡하고 민감한 실험, 혹은 도박을 하고 있는 셈이지 모른다.

PS.

2023년 1월 초 베이징을 방문한 봉봉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오른쪽)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여러분의 구독이, 다양한 고품질의 기사로~

구독하시면 갯수 제한 없이 읽으실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