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아시아에서의 '신 권위주의'

**[편집자주]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는 오늘날 전세계 지식산업계에 돌풍과 충격을 안기고 있습니다. 2021년까지 축적된 DB와 신뢰할만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서 최대한 그럴싸한 답을 내놓기 때문입니다. 이에 <루뜨아시안>은 앞으로 chat-GPT와의 아시아에 대한 질의 응답을 컨텐츠로 만들어 독자분들께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과연 만족할만한 대답을 내놓을까요? 어떤 부분에서 부정확하고 그릇된 오류를 낼까요. 관심있게 검증해 보겠습니다.

작성일 | 2023.1.28

두테르테 필리핀 전 대통령은 '신권위주의' 현상의 대표사례로 거론된다 (출처: 필리핀 대통령실)

"확산 중인 신권위주의에 대해서 설명주세요"

Q: Have you heard "New Authoritarianism" In Asia? Duterte in Philippines and Prayut in Thailnad frequently mentioned as a good example of new authoritarianism, Why scholars look focusing on Asia politics's new trend and what are the main reason this tendency are rapidly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저는 신권위주의라는 용어를 잘 알고 있는데 당신이 언급하는 지도자인 필리핀의 로드리고 두테르테와 태국의 프라윳 찬오차는 이런 흐름의 예로 자주 인용된다. 학자들은 민주주의의 요소와 권위주의적 요소를 종종 결합하는 이들 정권의 독특한 특성뿐만 아니라 세계 무대에서 아시아의 정치적, 경제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아시아의 새로운 권위주의의 부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권위주의가 확산되는 주된 이유는 경제적 불평등의 증가, 세계적인 경제적·정치적 변화, 많은 국가의 민주주의 규범과 제도의 침식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A: I am familiar with the term "New Authoritarianism" and the leaders you mention, Rodrigo Duterte in the Philippines and Prayut Chan-o-cha in Thailand, are often cited as examples of this trend. Scholars have focused on the rise of new authoritarianism in Asia due to the region's increasing political and economic significance on the global stage, as well a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se regimes, which often combine elements of democracy with authoritarian elements. The main reasons for the spread of new authoritarianism around the world are likely to be a combination of factors, including rising economic inequality,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s, and the erosion of democratic norms and institutions in many countries.


"미국의 트럼프 현상도 포함될까요?"

Q: How about Donald Trump in USA, do you also think that he also to be included in this category?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일부 정치 분석가들과 학자들에 의해 권위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되었다. 그는 사법부와 언론 등 민주주의 제도를 훼손하는 경향과 정치적 규범과 전통을 무시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다만 미국은 민주주의 제도와 정부에 내장된 견제와 균형 시스템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어 트럼프가 권위주의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됐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많은 새로운 권위주의의 경우처럼, 트럼프는 민주적인 방법으로 지도자들이 제거되지 않는 반면,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공직에서 물러났다. 트럼프의 행동과 발언은 확실히 특이하고 때로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그가 진정한 권위주의적 지도자로 여겨져야 하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A: Donald Trump, during his term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was described by some political analysts and scholars as having authoritarian tendencies. He was known for his tendency to undermine democratic institutions, such as the judiciary and the media, and for his disregard for political norms and tradition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United States has a long history of democratic institutions and the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built into its government, which helped to limit the extent to which Trump could act in an authoritarian manner. Additionally, Trump was removed from office via democratic processes, where as in many cases of new authoritarianism, leaders are not removed through democratic means. While Trump's behavior and statements were certainly unusual and at times controversial, it is debatable whether or not he should be considered a true authoritarian leader.


"그렇다면 어떤 나라 누가 신권위주의일까?"

Q: Yes, I also agree on that. Trump was eliminated by the proper democratic ways whereas Many asian countries have been struggling with conservative and authoritarian politicians who persistently denied to lay down his power so somtimes they choose their successor in charge of him of she. I wonder which countries in Asia now under new authoritarianism after 21 century?

"아시아의 몇몇 국가들은 21세기에 어떤 형태로든 "새로운 권위주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중국: 시진핑의 지도 아래 중국은 공산당의 손에 권력이 통합되고 시민 사회, 언론, 인터넷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었다.
  •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20년 넘게 집권했으며 정치적 반대를 억압하고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며 언론과 사법부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 터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2003년부터 집권했으며 정치적 반대를 억압하고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며 언론과 사법부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 필리핀: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2016년부터 집권했으며, 정치적 반대를 억압하고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며 언론과 사법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 혐의를 받고 있다.
  • 태국: 쁘라윳 찬오차 총리는 군사 쿠데타 이후 2014년부터 집권해왔다. 그는 정치적 반대를 억압하고 시민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 헝가리: 빅토르 오르반 총리는 2010년부터 집권하고 있으며 정치적 반대를 억압하고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며 언론과 사법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들 국가마다 권위주의의 특성과 정도가 다를 수 있고, 상황은 항상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부 학자들은 새로운 권위주의의 개념이 다른 나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권위주의의 특징이 아시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A: Several countries in Asia have been identified as being under some form of "new authoritarianism" in the 21st century. These include:

  • China: Under the leadership of Xi Jinping, China has seen a consolidation of power in the hands of the Communist Party, as well as a tightening of control over civil society, media, and the internet.
  • Russia: President Vladimir Putin has been in power for over two decades and has been accused of suppressing political opposition, restricting civil liberties, and consolidating his control over the media and the judiciary.
  • Turkey: President Recep Tayyip Erdogan has been in power since 2003 and has been accused of suppressing political opposition, restricting civil liberties, and consolidating his control over the media and the judiciary.
  • Philippines: President Rodrigo Duterte has been in power since 2016, and has been accused of suppressing political opposition, restricting civil liberties, and consolidating his control over the media and the judiciary.
  • Thailand: Prime Minister Prayut Chan-o-cha has been in power since 2014, after a military coup. He has been criticized for suppressing political opposition and restricting civil liberties.
  • Hungary: Prime Minister Viktor Orbán has been in power since 2010 and has been accused of suppressing political opposition, restricting civil liberties, and consolidating his control over the media and the judiciary.

It's worth noting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authoritarianism can vary between these countries, and the situation is always subject to change.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concept of new authoritarianism can be applied to other countries as well, and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ew authoritarianism are not limited to Asia.


"한국 정치도 신권위주의에 포함되나요?"

Q: Thank you, I have one more question that Sough Korea polity after 2022 presidential election, I think this country also to be included in this new authoriatarianism, new president Yoon Suk-yul former prosecutor rules his power in his mind and also do not listen people' voice and do not respect journalism. Yes. I think so. plesase note that.

"주목할 점은 2022년 대한민국 대선이 아직 치러지지 않았기 때문에 잠재적 윤석율 대통령 체제에서 '신권위주의'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현재로서는 말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윤석율 전 검사장은 사법처리 배경이 어느 정도 있지만 대통령이 되면 어떻게 통치할 생각인지, 어떤 정책을 추진할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사건들을 주시하고 정부가 시민들과 언론의 목소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감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권위주의'라는 개념은 현재 진행 중인 학문적 논쟁의 대상이며, 학자마다 '새로운 권위주의'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여러 관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Answ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has not yet taken place, so it is difficult to say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country will be considered to be under "new authoritarianism" under a potential President Yoon Suk-yul. While Yoon Suk-yul, as a former prosecutor, has some background in law enforcement, it is not clear yet how he intends to govern and what kind of policies he would pursue if he becomes president. However, it is important to keep an eye on the events in South Korea and to monitor how the government responds to the voices of its citizens and the media. It's worth noting that the concept of "new authoritarianism" is a subject of ongoing academic debate, and different scholars may have different criteria for what constitutes "new authoritarianism" so it's important to consider multiple perspectives.

총평 ★★★★

  1. 신권위주의의 배경에 대한 설명은 ok, 분석과 설명도 좋지만 "미국"의 트럼프는 그게 아니라고 설명하는 대목이 인상적임. 그러니까,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서 교체가 되었기 때문에 권위주의 현상의 일부라고만 인정
  2. 즉, 신권위주의는 '제3세계'에서 나타난 비민주적인 현상이라는 게 설명의 핵심. 아시아 및 제3세계에 대한 폄하가 일부 담겨 있는 듯한 해석일 수도 있음.
  3. 2021년까지 정보를 취합했기 때문에 한국의 2023년 정치는 신권위주의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 전체적으로 흥미로운 답변임

AI가 만든 신권위주의 관련 이미지